게시글 본문내용
함양오 씨 시조(始祖) 휘(諱)는 光輝(광휘)요 자(字)는 攸元(유원)이며 號(호)는
松泉(송천)이시다 ,고려조 문과에 등제하여 벼슬이 상서성 좌복야와 홍위위 대장군에 이르럿다 , 때에 임금께 글월을 올려 관리되려는 선비 3백인을 선발하여 유학을 부흥시겼는데 그즈음 내란에 외침으로 반적과 도적이 일어나므로 토벌책을 상주하여 왕명으로 토벌평정하니 이 공훈으로 추충정난 광국공신에 책록되고 삼중대광 금자 광록대부의 위계에 올라 함양부원군으로 봉하여진 문무겸전의 위인으로 諡(시)는 文度(문도) 이다 ,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서주리 옛 천령(天領)의 남쪽 화장산 기슭에 함양오씨 득관시조인 휘 광휘 시조의묘소와 영화재라는 재실이 있다 , 6세 휘 尙德(상덕) 은 휘 방식의 2남으로 호는 杜菴(두암)이다 고려 우왕 6년(庚申)에 향시에 합격으로 발탁되어 봉선대부 행 소부시소감으로 재직중에 고려가 망하고 조선의 태조가 벼슬에 나오도록 청하였으나 사양하고 후에 태종이 홍길민을 보내서 국사를 의논토록 하였으나 불사이군이라며 대답하지않은 충신이다 조선의 조정에서 증 정헌대부 이조판서 하고 시호(諡號)를 내리니 문충이다 , 7세 휘 致行(치행)은 휘 상덕의 2남으로 자는 源中(원중) 호는 花山居士 (화산거사)이다 휘 치행은 고려 우왕 11년 을축년 (1385년)년 생이며 세조 기묘년 (1459년)에 돌아가시었다 ,치행은 외삼촌 익성공 黃喜(황희)의 천거로 세종조에 출사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는 세종 16년 2월 1434년 장수현감 오 치행등이 사조하니 세종께서 인견하고 말씀하시기를 농상을 권장하고 형벌을 삼가하며 飢民 (기민)을 구제하여 백성을 사랑하고 기르는 도리를 다하라 하였다 , 세조 원년 12월 1455년 의정부에 전지하여 주부 오치행을 原從功臣에 녹훈 하였다 , 이어서 통훈대부(정3품) 예조좌랑 수 형조정랑의 품계에 이르러서 세조 3년 정축년에 영월에서 단종이 돌아가시니 공은 즉일로 벼슬을 버리고 천령고향으로 돌아갔다 세조5년 기묘년(1459년)에 돌아가시니 세조께서 조전에 명유하여 증 정헌대부 (정2품) 이조판서를 제수하고 예관을 보내서 용성 지금의 남원시 주촌방 간좌에 禮葬(예장)을 하여 현재까지 보존하니 560년의 세월이 지낫다 , 13세 휘 흥조는 戶曹參判公派(호조참판공파) 파조이시다 公은 宣祖(선조) 庚午(경오) 1570년 生이며 萬歷(만력) 22년 선조27년1594에 교생의 자격으로 갑오년 단독별시 中武科(무과에입격)하여 벼슬이 折衝將軍 (절충장군)정3품에 虞候(우후)로 有軍公(유군공)하다 즉 공을 많이세웠다 贈(증) 嘉善大夫(가선대부)종2품의 당상관 戶曹參判(호조참판)에 除授(제수) 받엇다 , 조선왕조실록 선조 30년 1597년9월 기록을보면 임진왜란의 수군통제사 이순신장군의 명랑해전에서 (副長)부장 거제현령 安衛(안위)와 板屋船(판옥선)을 앞세워 왜적을 궤멸하는 대승을 거둔후에 안위는 이순신 장군의 천거로 전라우수사 관직에 등용되고 고향 김제에 돌아왔다 , 광해군 1년3월 1609년 기축년 이때에 전라우수사 안위의 부장으로 우후 오흥조를 막료로서 포장할것을 장계하였는데 반대파에서 추고하기를 고했다 , 광해군 원년의 일로서 정권초기의 다툼이엇지 않나한다 광해군 3년 9월 1611년9월 사헌부에서 고하기를 全羅兵虞候(전라병우후) 오흥조는 인물이 완고하고 융통성이 없다는 트집으로 보이는 죄를 청하였다 , 광해군 11년 6월 1619년 임자년 군기군량을 준비한 전 우후 오흥조를 민간에 왕래하면서 타이르고 권면하여 목면을 90여동이나 모집하였으니 매우가상하다 가자 하도록 하라 고 명하였다 , 加資(가자)는 관직을 역임한 사람이 도움을 주었을때 벼슬에 준하는 직함으로 예비역이지만 나라에서 필요한 물자를 모집하여 가자로 인정받엇다면 광해군 원년의 추고등이 잘못된것이라 평한다 , 公의 卒年은 未詳이나 忌祭日은 九月十日로 기록되어 있다 , 참고-- 증직 ,가선대부 從2品(종2품) 재직,절충장군 正3品 (정3품당상관) 위 호참공 휘 흥조 연원은 함양오씨 족보의 기록과 세덕편의 묘갈명 조선왕조실록을 참고하였다 , 公의 初奬은 屯山峙 霧䨸洞 선고(휘 克仁)영하에 모시엇다가 三溪面蓬現里산35번지 亥坐에 3合窆하고 有碑(유비)하다 글쓴이 -- 함양오씨 호참공파 종친회장 태섭 (重軒) 편찬 |
'咸陽 吳 氏 崇慕 行事'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양오씨 敎旨와行守法(교지와행수법) (0) | 2025.05.12 |
---|---|
咸陽吳氏 貞敬夫人 (0) | 2024.11.30 |
咸陽吳氏 朝鮮 文科榜目(문과방목)(初試, 覆試, 殿試, 최종합격자) (0) | 2024.09.12 |
咸陽吳氏 九世 諱 洪壽 史實 (4) | 2024.09.03 |
함양오씨 7세조 휘 치행 묘역 안내문 (0)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