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_매실나무 이야기

매실나무키우기 (14)

중헌[重軒] 2012. 11. 8. 21:54

매실나무 11월이 되면 단풍이들어 잎이 떨어지고 떨어진 잎눈에 묏산자식으로 세개의 눈이 생기고 있다

이달까지는 나무의수액이 남어있어서 조금부드러울때 가지유인을 한다고 연 2일에 걸처서 유인줄울 맺다,

그런데 이것이 쉽지만 않은것이 ?  나무주위를 몇바뀌 빙빙돌면서 어떤여석을 주지로서 점찍을까에서 부터

어느정도 기울기로 잡아맬것인가 ? 앉었다 이러서다 요리보고 저리계산하고 남은 가지는 어떻게 ?

이렇게 이틀을 보내고나서 그 결과물을 자랑아닌 평가를 받고 싶어서 그림을 올려본다 ,

장래 3본 주지로 키울것으로 예정하고 지주와같이 묶어놓은 가지는 그냥 키울려고 생각하며 유인을 했다

 6개의 가지중에 분지각도와 높이가 제일적합한 3개만 유인을 했고 나머지는 그냥 키울생각이다

맨 아래 1번주지와 2번주지의 각도가 않좋으나 위에 몰려있는 4개보다는 유리할것 같아서 일단 유인을 햇다 ,

 

대체로 4~5개의 가지를 갖고 있어서 3본내지 4본주지로 하고 나머지는 예비지로 키울생각으로 유인을 맟쳤다 ,

 

특히할점은 유인줄을 나일론 끈이아닌 나일론 옷감천으로 했다 특히 가지를 묶는곳은 조여지지않도록 매듭을하여 헐렁하니 걸엇다

그러하여 가지를조여서 성장에 지장이 최소화 할것으로 기대해 보며

이렇게하니 가지를 조이지는 않으나 바람이 불어서 흔들릴경우 미끄러짐이있는것같다  또한 지난번에 제시했던 대나무말뚝을 썻다

대나무가 미끄럽지만 끈이아닌 천으로 묶으니까 미끄럼이없어서 한번씩만 묶어도 튼튼하였다 ,

특히 매듭으로하면 내년에 유인이 고정이되면 매듭끝을 잡아당기면 그냥 풀리기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할것 같다

우연한기회에 이 매듭방법을 아르켜준 장성의 단감농장을 하는 자매에게 감사를 드린다

 

 

*** 댓글로 문의내용 ***

가지를 벌려줘야 하는건가요?
올 해 밭 가장자리에 매실 몇그루 심엇는데
중헌님처럼 저렇게 가지를 벌려놔야 하는건가요?
 
만복 이 12.11.09. 10:43
나무가 높아지면 괸리가 어렵고 햇빝을 골고루 받기 어렵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합니다.
윗 사진처럼 가지를 벌려주면 전체적으로 수형이 안정되어 햇볕을 골고루 받기 때문에
열매도 많이 맺히고 낙과도 적어지고 수확할때 편합니다.
그냥 놔두시면 가지가 한없이 위로만 자라서 수확도 어렵고 열매도 부실해집니다.
가끔 매실농장 사진이 올라오니, 나무형태를 유심히 관찰하시면 답이 나옵니다.
 
중헌 12.11.09. 17:13
만복이님께서 정답을 말슴하신것 같습니다 ,
많은 관심 감사합니다 , ^ㅎ^
 
 
매화에 물줘라 12.11.09. 14:53
중헌님 오랜만입니다. 다음주 익산 전지전정 교육은 회사일때문에 아무래도 참석하기가 힘들것 같습니다. 건설회사에 근무하다보니 시간 맞추는게 참 힘이드네요.
이번 기회에 여러분들 뵙고 또 유익한 교육도 받고 싶었는데 맘대로 안되네요. 달콩님에게는 따로 전화드리겠습니다.
 
중헌 12.11.09. 17:20
그렇게 될것 같군요 ? 멀리에서 근무를 하니 어려운일이 많지요 , 다음에 좋은 기회가 있겟지요 ^ㅎ^
 
 
매화에 물줘라 12.11.09. 15:01
저도 작년 이맘때 밑거름주고 가지 유인했는데 중헌님 매실은 아주 튼실하니 잘컸네요. 아직 낙엽도 안되고 토질도 아주 좋은거 같습니다.
전지전정 교육받고 이쁘게 수형 잘 만드시고 사진 올려주세요. 그리고 1년생 매실나무 밑거름은 늦가을에 하는게 좋다고 하던데요.
 
중헌 12.11.09. 19:43
잘키웟다는 칭찬받을려고 좋은놈만 골라서 보여드리는것이라요
예~ 좋은 정보입니다 , 그렇잖아도 몇일전 올해 묘목을구입했던 농장엘 갔더니만 퇴비를 벌써주엇더라고요 ,
죽은놈 못난놈없애고 남은땅에 조금더심을까 요즘에심어볼가하고요 가봣지요 , 추운지방이 아니니 겨을에심어도 괜찮다고는 하는데 ~~
주말 즐겁게 보내세요 ^ㅎ^
 
 
성실농원 12.11.09. 21:00
올해는 강한태풍과 가뭄등 기상조건이 나무키우기에 적합하지않아 어려움이 많았던 한해였던거 같습니다만
건강하게 잘자란 중헌님에 1년생매실농장을보니 부럽습니다요....대나무 말뚝에 길이가 궁금해요~저도 유인할때 참고하고싶습니다....내년이 더욱 기대가 되는군요...중헌님 수고많으셨습니다..^^
 
중헌 12.11.10. 08:03 new
성실농원님 안녕하세요 ,
많이 큰놈 않큼놈 가지가지이지요 ! 아무튼 많이 죽이진않는게 다행으로생각합니다 ,
대나무말뚝은 길이를 약 25cm 로햇고 넓이는 약 2,5 cm로햇는데 1년생가지는 무리가 없는것 같고요
굵은가지 묶은가지는 좀더 길고 넓게해야할것같고 말뚝을 박을때 대쪽얇은쪽이 나무쪽으로 박으니 힘이받히데요 ,
장성군 단감농장에서 많이쓰는 끈이아닌 천으로된것이 좋은것 같았여요 묶은곳을 넓게 펴줄수도 있고요
오늘도 대봉시 따야되지요 ? 수확 많이하세요 , ^ㅎ^
 
 
알콩달콩(서산) 12.11.10. 20:26 new
매실나무에 대한 중헌님의 많은 관심과 정성에 보답이라도 하듯 묘목이 아주 잘 자랐네요.
몇년만 있으면 멋진 수형의 매실과원이 탄생할것 같습니다.
그런데 두번째 사진과 세번째 사진의 유인에는 다소 문제가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유인이란 수형을 잡는 방법이기도 하지만 가지간 세력의 차이를 조절하는 중요한 수단이기도 하다고 배웠습니다.
두번재와 세번째 사진에서 보면 주지예정지들은 유인 각도를 많이 눕힌 반면 예비지들은 유인 각도를 조금밖에 눕히지 않은것으로 보입니다.
그럴 경우 주지예정지들은 세력이 약해지고, 예비지들은 세력이 강해져 주지예정지보다 예비지가 더 강한 가지가 될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알콩달콩(서산) 12.11.10. 20:33 new
예비지들도 주지예정지만큼의 유인을 해야 할것 같습니다.
그래야 가지간 세력의 조화가 잘 맞을것 같습니다.
주지예정지보다 예비지를 더 많이 유인했다면 이해가 가지만 지금은 반대로 주지예정지가 더 많이 기울어지게 유인을 한것 같아 우려가 되네요.
고수님들께 자문을 구하셔서 좀 더 알아보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알콩달콩(서산) 12.11.10. 20:42 new
참고로 저는 겨울정지전정을 마친 후 유인을 할 생각입니다.
이유는
가지의 이상적인 모양은 배의 하단부 모양이라고 배웠습니다.
지금 유인을 해 놓으신 상태는 차후 전지할 가지의 무게까지 적용되어 무게중심이 맞춰져 있을겁니다.
지금처럼 유인을 해 놓은 상태에서 전정을 하고나면 현재 유인줄이 묶여진 위치는 가지의 끝쪽이 될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게 되면 가지의 휨 모양이 배의 하단과 반대의 모양이 될수도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저도 아직은 유인을 한다음 전지를 해보지는 않아 제 생각이 맞다고 할수는 없으니 다만 막연히 그럴것 같아 드리는 말씀이니 가볍게 참고만 해 보시기 바랍니다.
 
중헌 08:41 new
달콩이님의 관심이 곧 관찰력입니다 , 맞습니다 중헌도 지적하신 그부분이 애매하여 자문을 구하고 싶은것입니다 ,
첫째 예비지라고 칭하는 가지는 아예유인을하지않는것도 있습니다 , 그림밑에설명처럼 그냥키울려고요 ~~
말씀대로 유인을하면 성장이저조해진다고하는데 전정의방법에따라 부주지의활성도가 조절되는것으로 많이얘기되는것으로 기억되네요
그래서 지적하신 예비지는 달콩이님의블로그 방명록을발췌한 내용을 응용하건데 맞는지 ? 즉 강전정은 새가지가 많이나오고 약전정은 새가지성장이약하다 무전정은성장이약하다 , 그러면 예비지는 끝만살짝잘라주면 그대로있지않을까 생각으로 그대로 둔것인데 ~~~ ?
 
매실촌장 08:58 new
의견에동감합니다
 
중헌 09:01 new
또한 과수박사님의 간벌수어록중에 도장지도 오래되면 결과지발생이된다는 내용을 응용한것이~~~ 예비지를도장지로 간주하고 무전정하면 더이상 않크는것으로 생각하고 주지예정지만 유인을하여 수형구성을 할생각인 것입니다~~~

전지를하고 유인을한다는 말씀에는 이의가없으나 중헌의매실나무는 수관의높이가 조금높은것같아서 강유인을하려면 일직해야지 않되겠나싶엇고 실제 8월에태풍을대비하여 지주대를세우면서 유인한가지를 이번에 풀어보니 단단히굳어서 유인이 힘든것 같았어요 ,
전정을하면 가지끝이묶이는 결과와 무게의중심에대하여는 전정이가지길이에따라 강약조절이되는것으로 말씀들을해서 그렇게염두에두고
했읍니다만~~
 
중헌 09:14 new
달콩이님의 전정전에유인으로 가지의무게때문에~~ 긑을묶으면 활처럼휘기만하고 실제기부에서는 유인이않되는경우를 보았습니다
보완책은 유인줄을 고리형식으로 묶어서 올렷다내렷다 할수잇고 높이조절도 가능하게 대비를 했습니다만 ~~
중헌의설명이 중구난방입니다만 다시한번 탐독하시고 답글을 기다립니다 , ^ㅎ^
 
전지전정에 의해 세력이 조절되는 것은 맞습니다만 그렇다고 전지전정이 세력 조정의 전부는 아니라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아무리 강전을 한다해도 등쪽에서 발생해 직립하는 도장지 만큼 세력이 좋지는 못할겁니다.
그래서 도장지를 철저히 제거해야 한다는 말씀들을 하고 있는 겁니다.
도장지도 나중에 결과지가 되는 것도 당연히 맞는 말입니다. 세력이 좋으니 좋은 결과지가 되지요.
하지만 도장지를 결과지로 만들고자 도장지 제거를 하지 않는다면 우리 몸에서 팔이 몸통보다 훨씬 많은 일을 하므로 팔이 몸통보다 굵게 만들겠다는 것과 같은 논리라고 봅니다.
아무리 팔이 중요해서 굵게 한다해도 몸통보다 굵어서는 안되지요
 
아무리 약전 또는 무전정을 한다해도 직진한 가지는 많이 누운 가지보다 세력이 강합니다.
그리고 말 그대로 예비지인데 혹시라도 나중에 주지예정지에 문제가 생겨 예비지를 주지로 이용해야 할 경우에
예비지에서 주지로 바뀐 가지는 많이 서 있고 주지 예정지들은 많이 누워있으면 안될것 같아요.
예비지라도 주지예정지와 동일한 조건으로 유인하시되, 강약 전정에 의한 세력 조정을 하시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합니다. 즉, 주지예정지와 예비지 모두 비슷한 각도로 유인을 하고, 주지 예정지는 강전정!, 예비지는 약전정!을 하시는 것이 바람직할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조화'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아무리 팔힘이 좋아도 허리가 부실하면 말짱 도루묵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정의 기본중에 주지보다 굵은 부주지는 제거를 하는것이 기본입니다.
강전정으로 부주지의 세력을 좋게한들 주지가 빈약하면 결국 좋은 부주지는 아무런 소용이 없게 됩니다.
제일 강한것은 주간>주지>부주지의 순서가 되어야 조화와 균형이 맞는 것이죠.
빈약한 과수지식으로 너무 주제 넘는 소리를 많이 한것은 아닌지 모르겠네요~
중헌님의 관심과 열정이 남달라 저 또한 성심껏 제가 알고 있는 바닥까지 긁어 말씀 드린것이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헌 12:33 new
달콩이님 여기 광주는 비가 오락가락합니다만 서산은 더 많이오는것 같습니다 ,
달콩이님의 답글중에 **아무리 무전정을한다해도 직진한 가지는 많이 누운가지보다 세력이강하다 **
** 주지예정지는 강전정 예비지는 약전정 ** 예비지들도 주지예정지만큼 유인을 **
주요 요약한내용들에 공감하며 실행하도록 하는게 정답이네요 ,
휴일에 중요한시간을 할애주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