咸陽 吳 氏 崇慕 行事

함양오씨 호참공파의 연원

중헌[重軒] 2010. 7. 14. 08:03

함양오씨 (咸陽吳氏)의 득관시조의 휘(諱)는 광휘 (光輝)요

자(字)는 유원 (攸元)이며 호(號)는 송천(松泉)이시다,

고려조 문과에 등제하여 벼슬이 상서성 좌복야와 홍위위 대장군에 이르럿다 ,

때에 임금께 글월을 올려 관리되려는 선비 삼백인을 선발하여 유학을 부흥시겼는데 .

그즈음 내란에 외침으로  반적과 도적이 일어나므로 토벌책을 상주하여 왕명으로 토벌평정하니

이 공훈으로 추충정난 광국공신에 책록되고 삼중대광 금자광록대부의 위계에 올라

함양부원군으로 봉 하여진 문무겸전의 위인으로 시 (諡)는 문도 (文度)공 이다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서주리  함양의 남쪽 화장산 기슭에 함양오씨 득관시조 인

휘 광휘 시조의 묘소와 영화재라는 재실이 있다

 

              고려 금자광록대부 상서좌복야 상장군 함양부원군 오공 지묘

 

             함양군 유림면 서주리 화장산 기슭의 장수골 시조님 묘소에서 무자년 춘향제의모습

 

 함양오씨 시조이신 휘 광휘 는 삼형제를 두엇으니 ,  二男 휘 홍예 (洪芮)는 희종조에 갑과문과

 장원으로 벼슬에 나아가 정의대부 비서성판사에  승 금자광록대부에 오르다 , 시호는 문경공이다 ,

 

 손자 휘 적 (迪)은 휘 홍예의 五男으로 국자감 시 세자 일강효경하고( 세자를모시고 매일효경을강의)

 봉상대부 집현전 태학사에 오르고 삼중대광 문하성 중서령 으로 시호는 문열공이다 ,

 

 증손인 휘 현비 (玄庇)는 휘 적 의 장남으로  충열왕조에 봉선대부 예문관 직제학 에 오르다

 증 태전 문하시중 에 시호는 정민공이다 ,

 

 현손인 휘 방식 (邦植)은 휘 현비의 장남으로 호는 송헌이다 .

 충숙왕조에 중산대부 개성소윤에 좌리공신으로 봉해지다 ,

 

 六세  휘 상덕 (尙德)은 휘 방식의 二男으로 호는 두암 (杜菴)이다

 고려 우왕 六년에 향시 一위 합격으로 발탁되어 봉선대부 행 소부시 소감에 이르렇고 고려가 망하고

 조선의 태조가 召 不起하고(벼슬에나오라 했으나 가지않고) 태종이 홍길문을 보내어

 국사를 논하였으나 불사이군이라며 대답치 않은 충신이다 , 

 증 정헌대부 이조판서 하고 시호는 문충공 이다 ,

 후세에 사림이 추모하여 황익성공과 함께 남원 풍계서원에 배향하고 있으며 ,

 또한 후손들이 추모하여 남원 노암동에 술산사 (述山祠)를 세워 매년 가을에 배향하고 있다 ,

 

 정헌대부 이조판서 두암 함양오공 휘상덕 정부인 장수황씨 합단

 술산사

 

  고려 소부시소감 증 이조판서 시 문충 두암 오선생 신도비

 

 七세  휘 치행 (致行) 은 휘 상덕의 二男으로 자 (字)는 원중 (源中)이요 호 (號)는 화산거사 (花山居士)다

 공은 세종조에 벼슬에 나아가 봉훈랑 행 예조정랑과 수 형조정랑을 역임하다 .

 단종의 유배됨을 애석해하며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  후에 세조가 증 정헌대부 이조판서하고 예장하다 ,

 

 八세  휘 응 (凝) 은 휘 치행의 二男 이니 자(字)는 명수(冥受)요 호(號)는 송와(松窩) 금남재(錦南齋)다 .

 공은 세종조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직장(直長) 벼슬에 올랏다 .

 세조조에 별시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槐院에 (괴원) 뽑혀서 여러 청반을 두루 거쳤다 ,

 세조 12 년에 함길도 관찰사에 제수되어 재상 조석문과 함께 이시해 난을 토평하고 적개공신(敵愾功臣)

 에 녹훈이 되다 , 평안도백  경상도백에 이어 전라감사를 역임하였다 .

 승 자헌대부병조판서 예문관 대제학 좌리공신에 봉 남원군 하다 .  

 남원시 노암동에 금남재라는 제각이 있으니 휘 응 공이  후학을 양성하고 학문을 논하며 노년을 보냈던

 곳으로 전라북도 기념물 1 5 호로 지정되었다  , 임실군 상운면 입석리에 묘소가 있다 ,

 

 四도 관찰사 병조판서 함양오공 휘 응  묘소

 

 관찰사 함양오공 휘 응 신도비

 

 예문관 대제학 함양오공 응  배 정부인 함양박씨지묘

 

 九세  휘 홍수 (洪壽) 는 휘 응 의 長男으로  세종조(世宗朝)에 통훈대부 사헌부감찰 에

 통정대부 이조참의를 역임하고 승 자헌대부 하엿으나 연산군 정란에 칭병하고 벼슬에 나아가지않앗다 ,

 

 十세  휘 성대 (聲大) 는 휘 홍수의 長男으로  공은 중종조에  중훈대부 행 으로 벼슬에 나아가

 건원능 직장을 역임하였다 ,

 

 十一세   휘 경 (瓊) 은 휘 성대의 장남으로 자 (字)는 여구 (汝玖) 요 호 (號)는 요남 (蓼南) 이다

 공은 선조조에 좌명공신 증 통예원 통예 하고 추증 봉상시 제조통례 하다 ,

 

 十二세   휘 극인 (克仁) 은 휘 경 의 장남 으로  공은 선조조에 통덕랑 통훈대부 수 군자감 첨정

 통례원 좌우 통례를 역임하고 증 통정대부 장례원 판결사를 제수받었다 ,

 

 十三세   휘 흥조 (興祖) 는 휘 극인의 六兄弟중에 장남이다 ,  공은 만력 二十二년에 무과 장원하여

 벼슬이 절충장군 우후를 제수 받아 다대한 군공을 세웠으며 임진왜란에 군공으로

 가선대부 호조 참판에 증직 되었다 ,

 

  이어서 함양오씨가 분파되니 一男 휘 흥조공은 호참공파요 ,二男 휘 찬조공은 영회정공파요 ,

  三男 휘 윤조공은 공참공파요 , 五男 휘 승조공은 통덕랑공파로 분파되니 

  함양오씨의 四十三여파 중의  한 파조(派祖)가 되었다 ,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행절충장군 우후 함양오공 흥조지묘 배증 정부인 문화유씨 배정부인 순천김씨 삼합폄

  

 함양오씨 호참공파 손록

 

 戶參公派의 파조이신 휘 흥조 는 융경 경오년에 태어나 일추월장 (日追月奬) 하여 소년기에도

 장군다운 기품이 있엇다고 하며 만력 2 2 년에 무과 장원하여 벼슬이 절충장군 우후를 제수 받앗다

 후에 가선대부 호조 참판 에 추증 되었다 ,

 호참공의 초장 (初葬)은 구례군 산동면 둔산치(屯山峙)에 안장하였다가 1991년 신미년에

 임실군 삼계면 봉현리 증산 (甑山)의 서편에 이장하고 비문을 새겨 세웟다 ,

 후손들의 세거지로는 남원 과 하동군 쌍계사 와 임실군 삼계에 분포되어있고 서울 부산도

 많은 후손들이 살고 있다 ,

 호참공파의 후손들이 매년 봄철에 묘사를 드리며 한자리에 모여서 자손된 도리를 다하고 있다

 사진속의 일가들은 함양오씨 호참공파 二十四세 에서 二十六세 까지의 일가들로 그중에

 태섭 (중헌)은 二十五세 후손이다 ,

 

 

 ==  참고 =

족보나 비문을 보면 많이 쓰는 글자지만 해석하기 어려운 글자가 있으니 알고 읽으면

이해하기 쉬울것으로 생각되어 펼처본다 ,

 諱 (휘) =  휘는 돌아가신 선조님 이름 앞에 붙여서 쓴다 , ( 함양오씨 휘 0 0 )

 贈 (증) =   從二品 이상 관원의 부.조.증조. 또는 충신 효자 또는 학덕이 현저한 사람에 대하여

               사후에 관직 품계를 더 하는것이다 ,

 蔭 (음) =   조상의 벼슬덕으로 인하여 벼슬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

 諡 (시) =   시호는 나라에서 내리는 것이다  .

 追贈 (추증) =  본인이 죽은뒤에 벼슬을 주는 제도로 일종의 명예직이다 ,

 贈諡 (증시) = 벼슬길에 있던사람이 죽은후에 나라에서 시호를 내리는 것이다 ,

 出系 (출계) =  아들을 두지못한 집안에 양자로 간 것이다 ,( 出系 伯父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