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숭아 씨살이 좀벌
발생 현황
○ 2010년 무렵부터 남부지역의 매실 주산 시‧군에 발생을 시작하여 매년 피해를 주고 있음
○ 2019년 매실의 꽃 피는 시기가 빨라져 방제시기를 놓친 지역에서 대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었음
- 꽃이 빨린 핀 뒤 기온이 낮아지는 날씨가 지속되면서 매실 열매가 커지는 것이 늦어졌고,
좀벌 출현 기간이 길어지면서 방제의 어려움이 커졌음
* 2019년 전남 피해면적 : 약 1,194ha(2018년 대비 피해면적 2.2배 증가)
□ 생태 및 피해양상
○ 연 1회 발생하며 매실, 복숭아, 살구 등 핵과류에 피해를 줌
○ 열매가 수확 전에 썩기 시작하여 심한 경우 떨어짐 피해가 나타남
○ 열매의 씨방 속에서 애벌레로 월동하여 이듬해 꽃필 무렵 번데기를 거쳐 어른벌레가 되어
어린 과실 속에 산란관을 이용 알을 낳음
- 애벌레(2월) → 어른벌레(3~4월) → 알낳기(4~5월), 1마리가 100여개 알을 낳음
○ 복숭아씨살이좀벌 어른벌레는 기온이 18℃ 이상이고 구름이 적을 때에 활발하게 짝짓기 행동을 보이며
흐리고 비 오는 날에는 짝짓기를 않음
* 성충이 주로 활동하는 시간은 오전 9시~13시임
○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는 열매 속에서 씨방을 갉아 먹으며 성장하여 수확기 무렵 열매 겉껍질은
갈색으로 변하고 함몰 피해 발생
○ 복숭아씨살이좀벌 어른벌레는 열매 크기가 1∼2cm가 되는 시기에 왕성한 활동을 보임
<복숭아씨살이좀벌 성충>
<복숭아씨살이좀벌 유충>
<피해 과실>
<산란과정>
□ 방제요령
○ 피해가 발생한 과수원에서는 썩었거나 땅에 떨어진 과실을 모두 수거해 불에 태우거나 물에 담가
열매 속에서 월동한 애벌레를 없애야함
- 올해 수확 이후에도 피해를 입은 과실이 과수원에 남지 않도록 없앰
- 떨어진 열매를 방치해 복숭아씨살이좀벌 개체 수가 늘어난 것이 피해 확산의 주요 원인
○ 성충 산란시기를 확인하여 가급적 발생 적기인 오전에 공동방제
- 방제 적기 : 과실 크기 1~2cm 정도 되는 시기
- 복숭아씨살이좀벌은 어른벌레 기간을 제외하고 알, 애벌레, 번데기 기간은 씨앗 속에서 살기 때문에
약제를 살포해도 방제효과가 낮으므로 성충이 어린 과일 속에 알을 낳는 시기에 맞춰 집중 방제
○ 피해가 심한 과원에서는 과실크기가 1cm 정도 되는 시기부터 성충의 발생을 관찰하면서
5~7일 간격으로 2∼3회 등록약제 살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