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 / 세가지의 본 (三綱 )
세 가 지 의 본 : 삼 강 (三綱)
세 가 지 의 본 ,
三綱 은
삼 강
( 삼강이라는 것 은 )
君爲臣綱 이 오
군 위 신 강
(임금은 신하의 본이 되고 )
父爲子綱 이 오
부 위 자 강
(어버이는 자식의 본이 되고 )
夫爲婦綱 이 니 라 ,
부 위 부 강
(남편은 아내의 본이 되는 것이니라 )
----- 뜻 풀이 -----
삼강은 사람의 가장 큰 인륜인 임금과 신하
부자간 . 부부간의 관계를 말한 것이다 ,
군위신강이라 함은 임금된 자가 몸 가짐을
바르게 하여 신하의 본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
임금이 몸가짐이 바르면 신하가 임금을 존경하게
되고 그 행동을 본 받아서 어진 신하가 된다 ,
따라서 임금과 신하 사이에 질서가 바로 서고
정사가 밝아서 잘 다스려 지는 것이다 ,
반대로 임금이 몸 가짐을 바르게 가지지 않는다면
신하들이 그 임금을 존경하지 않고 명령을
따르지 않게 되어 임금과 신하 사이의 질서가
무너지게 되고 부정한 일이 저질러져서
나라는 혼란에 빠지게 마련이다 ,
임금이 바르면 나라가 안정된다 "는 옛말이 있듯이
이와같이 남의 위에 선 사람은 늘 자기 반성을 하고
높은 수양을 쌓아서 마음가짐과 행동이 아랫사람의
거울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
부위 자강이란 말은
어버이의 행동이 또한 자식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버이의 행동이 바르면 자식이 그 어버이를 존경하고
그 행동을 본 받아서 착한 사람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어버이와 자식 사이의 질서가 서고 가정을
원만하게 이끌어나가 행복을 누릴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버이의 행동이 바르지 못하면 자식이
그 어버이의 말을 듣지 않고 함부로 행동하게 되어
가정의 질서가 무너지고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된다 ,
부위부강 이란
곧 남편된 사람이 행동을 바르게 하여 아내의 본이
되어야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남편의 행동이 바르지 못하면 아내가 그 남편을
존경하지 않으며 아내의 도리를 다 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부부 사이의 애정이 무너지고 서로
존경하지 않게 되어 가정의 질서가 무너지고 복된
가정을 이룰 수 없게 되어 버릴 것이다
삼강은 사람의 도리를 바르게 하는 떳떳한 길을
밝게 밝혀 주는 것이다 ,
------ 명심보감 입교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