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명심보감)

명심보감의 내가 귀하다고 하여 !

중헌[重軒] 2008. 12. 8. 10:59

  

 내 가  귀 하 다 고  하 여

 

 

 

 

 

 내가 귀하다고 하여

 

 

 太 公   이    

 태  공    이     왈

勿 以   貴 己 而     賤 人

           물  이       귀   기   이          천   인     하 고

勿 以   自 大 而     蔑 小

              물  이        자   대   이          멸   소      하 고

勿 以   恃 勇 而     輕 敵

               물  이        시  용   이          경   적     이 니 라

 

 

 

=====  해   설 ====

 

태 공 이 갈 아 대

내 가  귀 하 다 고  하 여

남 을  천 하 게  여 기 지  말 고 .

스 스 로  크 다   하 여 

남 의  작 음 을  업 신 여 기 지   말 며 .

용 맹 을  믿 어 서 

적  을  가 볍 게  보 지 말 어 라 ,

 

 

 

뜻 풀 이 ------------

 

남에게 사양하는 마음 을 예의의 첫째라 하여

겸손을 사람의 미덕으로 삼았다 .

내 몸이 귀하다 하여 다른 사람을

천하게 여긴다던지 .

 

자신이 크다고 하여 작은 것을 업신 여기는

것은 옳지 못한 태도 이다  .

 

자기의 용맹만 믿고

적을 가볍게 보고 대단치 않게 여기는 것은

벌써 겸손하고 사양하는 미덕에도 어긋나는 일이지만

자기 몸을 망치는 근원이 된다고

말 하고 있는 것이다  ,

 

 

                                                          明心寶鑑의 正己篇에서 옮김   

 

 

바른생할의지혜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사람의 신분에 높고 낮음이 없고            

 직업에 또 한 귀하고 천한 것이 없음이다                              

 따라서 사람의 권리를 중하게 여기고                                  

모든 것이 평등하다고 보는데,                                           

 

 그런데 세상에 사람들은 그렇지가 못하다 .                            

돈이 많은 사람은 가난한 사람을 천하게 보고                       

 권력를 잡은 사람은 장사꾼이나 노동을 하는 사람을 보면        

 무시하고 우쭐거린다                                                        

 이런 행동과 생각을 버리지 않고서는                                  

 사회의 발전을 기대할수 없다 .                                          

그리고 또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자기의 자랑을 내세워 내가 제일인양 떠 벌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남의 앞에서 기가 죽어 맥을 못 추는                                   

사람들이 있으니 .                                                          

이런 일 들은 모두 다 옳지 못하고 떳떳하지 못하고              

어리석은 짓이며 못난 사람들이나 하는 짓들일 것이다 .        

어디까지나 도리에 벗어나는 일 없이                                 

의젓하고 떳떳하게 행동해야 하는 것이다 .                         

 

" 벼는 읶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 는 말이 잇다 .                  

이 말은 잘 나면 잘 랄수록                                             

겸손해야 된다는 뜻이다  ,                                             

겸손하고 사양하는 마음이                                             

아름다운 태도 임에는 틀림이 없다 .                                

그러나 사람들은 너무 겸손해도 예의에 벗어나는 것이 있고  

지나치게 양보만 하면 바보 취급을                                  

당 하기도 한다                                                            

 

더욱이 자기 힘만 믿고 매사에 조심성 없이                      

날뛰다 보면 큰 일을 망치는 일이 있고                            

자칫하면 자기의 한 몸을 망치는 일도 있다 .                    

그러기에 모든 일은 분별해서 신중히 처리하고                 

자기의 몸 가짐을 바르게 해야 하는 것이다 .                    

 

" 천지를 모르고 깨춤을 춘다 " 라는 말이 있다                

언행이 가볍고 들 까부는 사람을                                   

가리켜 하는 소리이다                                                 

깊이 뜻을 새겨볼 필요가 있다 .                                    

 

사람다운 사람은 자기의 지위가 높으면 높을수록             

몸을 낮추며                                                              

지식이 많을 수록 표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                    

재산이 넉넉하고 벼슬이 높으면                                    

그럴수록 남의 사정을 이해하고                                    

아랫사람을 아껴 주어야 하는 것이다 .                           

 

그래야만이 그 부 (富) 하고  귀 (貴) 함을                       

오래 간직하는 길이 될것이다                                     , 

 

 

                                   명심보감  정기편에서  ,